다시보는 소호창업(SOHO) 개념과 특징

다시보는 소호창업(SOHO) 개념과 특징에서는 소호창업(SOHO)의 정의, 소호창업(SOHO)의 5가지 특징, 소호창업(SOHO)의 형태에 대하여 알아본다1. 소호창업(SOHO)의 현황과 전망, 소호창업(SOHO)의 8대 성공전략은 해당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다시보는 소호창업(SOHO)의 정의

소호(SOHO)란 영어의 ‘Small Office Home Office(소규모 사무실, 가정사무실)‘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신조어이다. 소호의 태동지는 미국이다. 1명의 재택 사업자로부터 직원 100명의 소규모 사업체까지 모두 소호라고 부른다. 그리고 별다른 자본이나 인력도 없이 집이나 작은 사무실을 거점으로 돈을 버는 사람을 ‘소호족’이라고 한다. 흔히 컴퓨터 관련사업 또는 인터넷 관련 사업만을 소호라 오해하기 쉬운데 소호창업의 범위는 상당히 넓고, 그 형태도 다양하다.

직업적으로는 자신의 핵심역량, 즉 경험, 자격증, 지식, 정보, 인맥 등을 핵심역량화하고 창의적 아이디어를 사업화하여 틈새시장 수요를 찾아서 수익을 창출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자유직업가를 포함하여 말한다.

또한 공간적으로 집 또는 10평 미만(5~8평이 가장 많음)의 소규모 사무실 또는 소규모 점포형 독립사업을 영위하는 독립사업자를 말하며, 최소의 인원(보통 1명 또는 3명 이하)으로 일하는 것이 보통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족창업, 부부창업, 프리랜서 창업 등의 형태를 띠기도 한다. 최근에는 소호사업자가 집적된 공간에서 개인 사무 공간은 임대하고 다른 편의시설은 함께 공유해서 사용하는 대형 공유오피스가 대세이다.

소호사업은 프리랜서, 자영업자, 재택근무자, 컨텐츠 제공업을 하는 사업자(CP : Contents Provider) 등을 포괄하는 복합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자택에서 하는 단독 SOHO를 텔레워커(Teleworker)라고 하고, 1명 이상부터 100명 전후까지의 소규모 사업조직을 SOHO라고 한다. 이 두 가지 모두 인터넷을 포함한 네트워크를 활용한 엘리트 집단의 비즈니스 스타일이다.

일본에서는 1명에서 20명 정도까지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공동작업장이 해당한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최근에는 소호비즈니스 사업자들이 공유된 공간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꾸민 소호공유오피스가 속속 들어서고 있다. 이러한 공유사무실은 최고급시설, 서비스만족, 완벽 오피스 구현의 세 박자를 요구하면서 Wework 및 Fastfive 등과 같이 대형화 및 기업형 프랜차이즈화로 발전하고 있다.

소호 공유오피스
[소호 공유오피스]

2. 다시보는 소호창업(SOHO)의 5가지 특징

소호의 특징은 소규모성, 지식정보 및 고부가가치 창출, 네트워크 등 정보기술의 활용, 틈새시장 공략, 접근용이성의 5가지를 들 수 있다.

① 소규모성은 사업자 자신의 집이나 작은 사무실 혹은 공유 오피스의 사업장에서 1명이나 3~4명의 소수인원으로 사업소호의 창업이 가능하므로 소액투자로도 시작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② 지식정보 및 고부가가치 창출은 사업자 자신의 전공 및 전문지식과 노하우를 상품화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③ 네트워크 등 정보기술의 활용은 인터넷과 네트워크 등 정보화 기술을 사업에 도입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④ 틈새시장 공략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개성화가 강하며 다양화하는 소비자의 수요패턴에 대응한 새로운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품종소량생산 형태로 틈새시장을 공략하여 공급할 수 있다.

⑤ 접근용이성은 자신의 전문분야 및 경험을 살린 사업이 가능하여 업종의 제한 없이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창출이 가능하다. 아래는 소호창업의 5가지 특징을 정리한 표이다.

소호 비즈니스 특징
[소호 비즈니스 특징]

3. 다시보는 소호창업(SOHO)의 형태

근무지에 따른 구분으로 재택소호 및 기업소호로 구분할 수 있다.

① 재택소호는 집(Home Office)을 거점으로 독자적인 사업을 운영하는 형태이다. 출퇴근에 따른 부담이 없으며 근무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가족과의 생활을 창조하게 된다.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가사를 병행하기 때문에 적합하나 엄격한 자기관리가 요구된다.

② 기업소호는 소규모 개인 혹은 대형 집적 공유 사무실(Small or Share Office) 형태로써 공유 사무실의 경우는 작은 사무실 공간은 임대하고 다른 편의시설은 공유하면서 근무를 하게 된다. 재택소호에 비하여 업무의 집중성을 높이면서 사무실의 유지에 필요한 다른 자금은 줄일 수 있다.

업무성격에 따른 구분으로는 사원소호, 사내소호, 독립소호로 구분할 수 있다.

① 사원소호란 자신이 출근하던 회사의 업무를 받아서 자신의 집에서 업무를 추진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은 경우 조직구성원으로서의 수직적 고용관계에서 벗어나 일종의 아웃 소서(Outsoucer)로서 수평적 협력관계로 탈바꿈하게 된다. 사원소호는 자신이 한 일에 대한 매출이 수입으로 직결된다.

② 사내소호는 기업의 재택 근무자로서 기업 네트워크의 인트라넷(Intra- net)을 활용하여 일을 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컴퓨터 네트워크를 최대한으로 활용하나 소속은 어디까지나 회사에 되어 있으므로 독립적인 비즈니스 형태는 아닌 것이다. 그러나 사내소호는 사원소호나 독립소호가 될 가능성은 매우 높다.

③ 독립소호는 자신의 의사에 따라서 회사로부터 독립을 하여 별도의 독자적인 사업을 전개하는 형태이다. 그러므로 독립소호는 자신의 의지와 비전, 정열, 성실성을 가지고 실현시킬 수 있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소호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소호 비즈니스 형태
[소호 비즈니스 형태]

  1. 김철교 외(2005), “창업론”, 삼영사.; 최중석 외(2013), “START-UP PRACTICE, 창업실무”, 고즈넉.; 최중석(2009), “사업계획수립과 경영전략”, 가람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