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촌 일본의 가나자와시
지역공동체 문화예술촌 일본의 가나자와시에서는 가나자와(金澤)시 인구통계 및 전통환경보존조례, 지역공동체 주도로 성공한 문화관광마을 가나자와(金澤)시와 그 성과를 알아본다.1.
1. 가나자와(金澤)시 인구통계 및 전통환경보존조례
이시카와현은 일본 열도 중앙에서 조금 아래쪽에 위치해 있으면서, 북쪽으로는 해변이 접해 있는 지방으로 지형은 남서에서 북동에 걸쳐 가늘고 길게 퍼져 있다. 이시카와현에는 가나자와 이외에 10개의 시가 있는데, 2019년 10월 31일 현재 인구는 114만 명이다. 가나자와시는 이시카와현의 현청 소재지로서 면적 467.77㎢, 인구는 2016년 1월 현재 46만 5191명에 이른다.
관광도시로 유명한 이곳은 제2차 세계대전 때는 전쟁의 화를 모면했기 때문에, 시가지에는 새로 개발된 근대적 건축물과 함께 역사적인 거리가 공존하고 있다. 가나자와시의 ‘히가시(동쪽) 찻집거리’는 2001년에 ‘중요 전통적 건조물군 보존지구’로 지정되었으며, 일본 게이샤의 찻집문화가 전수되어 옛 모습과 찻집에서의 게이샤 공연이 그대로 보존되어 오고 있다.

문화예술촌 일본의 가나자와시의 전통적 역사 경관 보존 움직임은 1968년 가나자와시 ‘전통환경보존조례’의 제정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경관 보존 조례는 일본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최초이며, 도시 개발로 고유의 전통 환경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통 환경의 보존을 위해 제정된 것이다.
이러한 전통 환경 보존 전략은 기본적으로는 지역의 역사 자원을 보존하고, 주민의 정주 여건을 개선하는 데 있지만, 이를 통해 지역의 문화예술 활동을 권장하고 관광을 활성화할 목적도 함께 존재한다.
먼저 도시의 전통 경관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건축물과 목죽(木竹)은 보존 대상물로 지정하고, 이를 변경할 경우에는 신고하도록 하였다. 구도심 18.87㎢의 광범위한 지역을 ‘전통환경보존구역’으로 지정하였으며, 2004년을 기준으로 29개 건조물이 이 조례에 의하여 시 지정 보존 건조물로 지정되었다.
특히 조례와 기본적인 전략방향은 시에서 제정하였지만 세부적인 추진은 지역주민 주도의 마을 만들기 운동을 토대로 진행되었다. 지역주민이 주도하여 만들어 낸 히가시 지구 마을 만들기 운동 속에서 시의 주요 자산인 ‘히가시 찻집거리’를 중앙정부의 전통 건조물 보존지구(전건지구)로 지정받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2. 가나자와(金澤)시 발전과 지역공동체 노력
중앙정부로부터 전건지구로 지정되면 보존사업 예산의 절반을 국가가 부담하며 수많은 관광객이 방문하는 효과가 있다. 2003년을 기준으로 일본의 60여 개 전건지구를 방문한 관광객은 연간 2800만 명 이상으로 집계되고 있다. 히가시 찻집거리는 2001년 중앙정부에 의해 전건지구로 지정되어 수많은 관광객을 맞이하는 주요 관광명소가 되었다.
또한 찻집거리의 예기(역주: 기생들의 예능)들에 의해 전수되고 있는 가나자와 ‘스바야시(역주: 일본의 전통음악 및 무용의 일부 악기만으로 연주하는 매우 특색 있는 전통 예능)’를 시의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 육성을 위하여 다양한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가나자와시는 2009년에 ‘공예와 민속예술’ 분야의 유네스코 창의도시네트워크(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에 가입하였다. 유네스코 창의도시네트워크는 창의적인 도시의 문화자산과 문화산업을 육성하고 도시들 간의 협력과 발전을 장려하는 국제 연대사업이다.
유네스코 창의도시네트워크에 지정된 한국의 도시를 잠깐 살펴보면 공예와 민속 예술(Crafts & Folk Art)로 지정된 경기도 이천시(2010년), 경상남도 진주시(2019년), 경상남도 김해시(2021년)가 있으며 디자인(Design)으로 지정된 도시는 서울특별시(2010년), 영화(Film)로 지정된 도시는 부산광역시(2014년), 미식(음식, Gastronomy)으로 지정된 도시는 전라북도 전주시(2012년), 강원도 강릉시(2023년), 문학(Literature)으로 지정된 도시는 경기도 부천시(2017년), 강원도 원주시(2019년), 미디어 아트(Media Arts)로 지정된 도시는 광주광역시(2014년), 음악(Music)으로 지정된 도시는 경상남도 통영시(2015년), 대구광역시(2017)가 있다2.
문화예술촌 일본의 가나자와시가 전통역사도시로서 일본 국내·외에 명성을 얻게 된 것은 무엇보다도 대대로 내려온 역사 자산이 있었기 때문이지만, 전통 예기라는 무형 자산을 배경으로 예기들이 살던 건조물을 보존하고 히가시 찻집거리를 중앙정부의 전건지구로 지정되기까지 지역주민들의 갈등을 스스로 해결하며 공동체 스스로가 자신의 마을을 보존·활용하도록 이끌었기 때문이다.
지역공동체 스스로 조사위원회를 결성하고 마을을 조사하여 보존할 부분과 지원받을 부분을 결정하고 이를 추진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외관을 훼손하는 상업용 가판대나 주차 차량을 건물 내부로 이전하는 등 공동체 스스로 마을의 전통 경관을 살리는 데 노력하였고, 전통 예기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 형성과 이를 보존·계승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였다.
3. 지역공동체 주도로 성공한 문화관광마을 가나자와(金澤)시
또한 지역의 문화예술단체, 지역주민단체와 함께 대중적인 문화로 인식되도록 다양한 행사와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지역공동체 주도로 진행된 이러한 문화예술 활동들이 오늘의 성공한 문화관광마을 가나자와를 만들었다.
가나자와 마을의 시민예술촌, 21세기 미술관, 창작의 숲, 공예공방 등에서는 가나자와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문화예술 활동에 참여하고 즐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나자와시의 문화예술을 대표하는 곳이 시민예술촌이다. 이곳은 가나자와시에서 ‘다이와 방적 주식회사’ 공장을 매입하여 예술공간으로 꾸며 시민들이 가장 사랑하는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문화예술촌 일본의 가나자와시에는 시민들의 의견을 반영하고 문화 및 예술 활동을 총괄 기획하는 ‘가나자와 예술창조재단’이 있다. 재단의 이사회는 문화예술전문가와 의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평의원회를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 가자자와시의 모든 문화예술 활동은 재단의 사무국 아래 이루어지고 있다. 재단 사무국 아래로 각종 미술관과 문화홀, 아트홀, 공예공방 등의 문화예술 공간이 있으며 각 공간에는 관장 혹은 촌장, 관리책임자 및 직원들이 각 시설의 기획과 관리를 맡아 운영한다.
- 가나자와 홈페이지(2018), http://kanazawa-tourism.com.; 한국지방행정연구원(2013), “현대적 지역공동체 모델정립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안전행정부.; 김혜동(2011), “일본 가나자와, 쇠락한 방직공장을 시민예술촌으로”, 홍주일보.; 가나자와 시민예술촌 홈페이지(2023), https://artvillage.gr.jp.; 정수희(2017), “도시의 문화자산으로서 공예와 공예도시 연구: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UCCN)를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연구, 14, 81-107.; 최중석 외(2023), “사회적경제학(Social Economics), 도서출판 좋은땅”. ↩︎
- https://ko.wikipedia.org/wiki/유네스코_창의도시_네트워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