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정부의 지속가능성 정책과 비나밀크(Vinamilk)의 지속가능성 ESG 전략

1. 베트남 정부의 지속가능성 넷제로 2050 전략

베트남 정부의 지속가능성 정책과 비나밀크(Vinamilk)의 지속가능성 ESG 전략에서, 베트남 정부는 2021년 UN 기후변화협약 26차 당사국총회(COP26)에서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 배출량을 ‘0’으로 줄이는 넷제로를 약속했고, 2010년 대비 2030년까지 전 세계 메탄 배출량을 줄이겠다는 약속에도 동참했다. 또한 산림과 토지 이용에 관한 선언인 글래스고 지도자 선언(Glasgow leaders’ declaration)에 동참했고, 세계 석탄에서 청정 전력으로의 전환 성명에도 동참했다1.

팜민칭(Pham Minh Chinh) 총리는 2021년 12월에 국가 운영위원회 설립안(Decision No.2157/QD-TTg)에 서명하고 베트남의 COP26 공약 이행을 지휘, 조정하는 데 있어 정부와 총리를 지원하고, 각 부처, 기관, 지방 자치 단체 간 기후 변화 대응 활동의 조정을 강화하며, 베트남과 국제기구, 개발 파트너 및 기타 국가 간의 협력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비나밀크(Vinamilk) 지속가능 성과]

2022년 첫 운영위원회에서 위원장인 팜민칭 총리는 기후 변화 대응, 탄소 배출 감소, 지속 가능한 개발이 개발도상국이자 기후 변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국가 중 하나인 베트남에게도 중요한 문제임을 언급하고 다음의 8개 테마에 집중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것은 첫째, 녹색 및 깨끗한 에너지로의 전환, 둘째, 메탄 배출 감소 계획, 셋째, 온실가스 배출 감소 계획, 넷째,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차량 감소 및 전기를 사용하는 차량 장려, 다섯째, CO2를 흡수하기 위한 삼림 확장, 여섯째, 건축 자재 생산 및 녹색 도시 개발, 일곱째, 디지털 전환 가속화, 여덟째, 모든 사람과 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소통 촉진이다.

  • 영문 원문: 차례로 The conversion to green and clean energy, Methane emission reduction plan, Greenhouse gas emissions plan, The reduction of vehicles using fossil fuels and encouragement of vehicles using electricity, Expanding forests to absorb CO2, Producing construction materials and developing green cities, Accelerating digital transformation, Promoting communication to attract the participation of all people and businesses

운영위원회의 첫 번째 회의가 있은 지 며칠 후 레반탄(Le Van Thanh) 부총리는 온실가스 인벤토리(inventories, 측정관리)를 실시해야 하는 부문 및 시설 목록을 공표하는 결정(Decision No. 01/2022/QD-TTg)에 서명하였다. 이 결정에 따라서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수행해야 하는 분야는 에너지, 운송, 건설, 산업 공정, 농업-임업 및 토지, 폐기물 사용을 포함한 6개 분야이며 산업 및 무역 분야의 1662개 시설, 운송 부문의 70개 시설, 건설 산업의 104개 시설, 천연자원 및 환경 부문의 76개 시설에서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수행해야 한다.

2. 베트남 정부의 지속가능성 정책과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ESG 추진 현황

베트남 ESG 준비 보고서 2022(pwc&VIOD)의 자료를 통하여 베트남 정부의 지속가능성 정책과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ESG 추진 현황을 알아보면 베트남에서 ESG는 지난 몇 년 동안 두각을 나타낸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주로 ESG 관련 관행을 촉진하려는 정부의 노력과 지속 가능한 투자에 대한 투자자들의 증가하는 수요에 의해 주도되었다. 특히 앞에서 살펴본 2021년 COP26에서 베트남은 총리가 일련의 기후 행동 공약을 발표하면서 큰 반향을 일으켰는데 이는 탄소중립으로의 전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며 전체 경제의 재배선(rewiring)을 요구하는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2.

  • VIOD: Vietnam Institute of Directors(베트남 이사 연구소)

이들 기업이 ESG를 실천하는 이유는 첫째,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향상(82%), 둘째,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함(67%), 셋째, 인력의 유치 및 유지(44%), 넷째, 투자가와 주주의 요구(40%), 다섯째, 정부의 요구(37%) 등으로 나타났다. 제조업과 유통 산업에서 특히, 인력 유치 및 유지를 위하여 ESG를 실천한다는 대답이 다른 산업군에 비하여 더 높게 나타났다. 글로벌 패러다임에 맞추어 베트남에서도 투자자와 주주의 ESG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ESG에서 우선적인 순위로 생각하는 것은 첫째로 지배구조(62%)가 차지했다. 이어서 둘째, 환경(22%)과 셋째, 사회(16%)로 나타나서 지배구조와는 3배~5배까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에너지 및 유틸리티와 자원에 관계된 기업들은 환경을 우선시하였으며, 기술 및 미디어와 통신 분야의 기업들은 사회를 더 우선시 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ESG 계획을 수립한(혹은 수립 중인) 기업 중에서 실질적으로 ESG 프로그램을 정착한 사례는 66%, 조직체계를 실질적으로 도입한 사례는 49%, 경영진이 ESG에 개입하는 비중은 38%로 좀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베트남의 유제품 기업 비나밀크(Vinamilk)는 전 세계적인 브랜드 가치 평가 기관인 브랜드 파이낸스(Brand Finance)가 선정한 2023년 ‘전 세계에서 가장 지속가능한 유제품 브랜드 Top 10의 5위에 선정되었다. 이 조사에서 비나밀크의 지속가능성 가치는 2억 5천 3백만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식된 지속가능성 점수는 비나밀크가 10점 만점에서 5.57점을 차지하여 낙농 선진국인 중국의 이리, 프랑스의 단원이나 프레지던트, 일본의 야쿠르트 등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3.

3. 베트남 비나밀크(Vinamilk)의 지속가능성 ESG 전략

베트남 비나밀크(Vinamilk)의 지속가능성 ESG 전략에 있어서 비나밀크는 국내/외 50개 이상의 기업을 보유하고 관리하는데, 농장이 15개, 공장이 17개 그리고 계열사 13개와 국내/외 합작회사가 있다. 베트남에서 비나밀크의 농장과 공장은 유제품 산업 중에 제일 큰 규모를 갖고 있다. 비나밀크의 최고경영자(CEO) 마이끼에우리엔(Mai Kieu Lien)은 2023년은 비나밀크 낙농 회사가 베트남에서 최초로 탄소중립 인증을 획득함과 동시에 Net Zero 2050 비전과 목표를 발표한 상당히 기억에 남는 중요한 해임을 밝히고 있다.

또한 비나밀크 CEO는 “우리의 주요 초점은 재생 가능 에너지를 활용하고 생산 전반에 걸쳐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100% ISO 14064 표준에 따라 공장과 농장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합니다. 우리는 태양에너지 프로젝트를 활성화하고 에너지 절약 기술을 채택합니다. 우리는 탄소 배출량이 적은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광범위한 연구와 혁신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산림녹화사업에 적극 참여하고 산림재생사업에도 협력하고 있습니다.”라고 지속가능경영 ESG 실천 의지를 분명히 다진다.

비나밀크의 지속가능경영 ESG 수행의 거버넌스는 경영진 및 이사회와 지속가능발전위원회(Sustainable Development Council)를 통하여 책임을 갖고 운영하며, 수행부서와 내부 관리 통제 부서를 두고 역할을 분담하여 진행한다. 이사회는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을 위한 정책 방향을 승인하고 ESG 전략, 정책 도입, 실제 수행의 최종적인 책임과 관리, 감독 권한을 가진다.

베트남의 비나밀크 Mega Factory, 유제품 공장은 베트남에서 가장 현대적인 슈퍼 공장으로써 세계 최고의 통합 및 자동화 기술을 갖추고 있다. 생산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현대적인 건설과 고급 자동화 기술을 적용하였으며 지속가능성 및 품질, 청결과 위생 등과 관련된 FDA, Organic EU, HACCP(해썹), Halal(할랄) 등 세계의 인증제도 및 품질 기준에도 충족한다. 이 공장에서는 연간 약 8억 리터의 우유가 생산된다.

비나밀크는 앞에서 언급한 ‘2023년 전 세계에서 가장 지속가능한 유제품 브랜드 5위’와 ‘2023년 Career Build 조사의 선택 고용주, 빠르게 움직이는 소비재 산업(Employer of Choice in 2023 – Fast Moving Consumer Goods Industry)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2022~2023 아시아에서 일하기 좋은 회사(Best Companies to Work for in Asia)의 HR ASIA AWARD 수상, 세계 최초 신선유 제품(PURITY AWARD, Clean Label Project(the U.S.) 인증, 베트남 소비자가 가장 많이 선택한 유제품 및 유제품 대체품 브랜드 11년 연속 수상을 받았다.

비나밀크는 사업운영의 지속가능한 가치 사슬을 창출하는 데 노력한다. 비나밀크 농장의 100%가 Global G.A.P 인증을 받았는데 이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구현된 농장 인증 제도이며, 1990년대 후반에 여러 유럽 슈퍼마켓 체인과 주요 공급업체가 만든 농장의 좋은 관리 관행에 대한 공통의 표준이다. 이러한 표준에 따라 비나밀크의 모든 농장은 지속가능한 농업 개발을 강조하고 고품질 우유 공급원을 기르고 환경적 지속가능성, 토양 품질, 동물 복지 및 생물 다양성 지키고 회복해 나간다4.

  • 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좋은 농업 관행)

또한 비나밀크는 폐기물 관리와 재활용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데, 폐기물을 귀중한 자원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순환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생산 전반에 걸쳐 친환경 원료를 활용하여 천연자원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있다.

비나밀크는 명확하고 투명한 계약을 통해 일관되고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모든 신선한 우유를 구매할 수 있도록 보장함으로써 가치를 공유하고 농부들을 지원한다. 비나밀크의 공급망에 참여하는 모든 농부는 생산성, 품질 및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사육부터 생산량까지 동물 관리에 대한 지침과 기술 지식을 받는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또한 경제 발전이 환경 보존과 일치하도록 보장한다.

비나밀크는 사회적 책임 이행에도 온 마음을 쏟는다. 어디에서나 일자리를 창출하고 노동력의 질을 향상하며 지역 경제를 발전시키고, 영양 및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인식을 높인다. 또한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및 지역사회 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한다.

비나밀크가 지속적으로 유지해 온 대표적인 프로그램 중 하나로 “Stand Tall Vietnam Milk Fund”가 있다. 이 계획은 모든 어린이가 매일 우유를 마실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16년 동안 지속되어 왔는데 이러한 프로그램은 젊은 세대의 발전에 기여하면서 미래를 위한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비나밀크의 헌신을 보여주는 것이다.

비나밀크의 메시지는 이렇다. “우리는 진심으로 관심을 갖고 번영하는 미래를 위해 단호하게 행동한다. 우리는 지속가능한 개발이 많은 노력과 헌신을 요구하는 지속적인 과정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공급업체, 파트너, 고객, 지역사회를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의 협력과 지원을 요청한다. 오직 함께 협력함으로써 우리는 우리 자신과 미래 세대를 위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 수 있다.”

  1. UN(2021), “COP26: Together for our planet”, https://un.org. ↩︎
  2. pwc&VIOD(2022), “From Ambition to Impact, Vietnam ESG Readiness Report 2022”. ↩︎
  3. 브랜드 파이낸스(2023), “Brand Finance Food & Drink: Sustainability Perceptions Value”, https://brandfinance.com. ↩︎
  4. 베트남 픽토리알(2023), “비나밀크, 유제품 기업의 지속가능한 국가 브랜드로 발전시키는 과정”, https://vietnam.vnanet.v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