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부문의 지속가능 핵심성공요인
자동차 부문의 지속가능 핵심성공요인은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2021년, 30(2)에 실린 논문 ‘자동차 부문의 지속가능 핵심성공요인: 지속가능한 생산과 친환경 인적자원(Sustainable manufacturing and green human resources: Critical success factors in the automotive sector)’에 대하여 원문과 초록, 15가지 CSFs, 결론, 학술 및 실무적 기여,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1. 자동차 부문의 지속가능 핵심성공요인, 원문과 초록
‘자동차 부문의 지속가능 핵심성공요인: 지속가능한 생산과 친환경 인적자원’ 논문의 원문은 다음과 같다1. Gedam, V. V., Raut, R. D., Lopes de Sousa Jabbour, A. B., Narkhede, B. E., and Grebinevych, O.(2021), “Sustainable manufacturing and green human resources: Critical success factors in the automotive sector”,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30(2), 1296-1313(구글 스칼라 →바로가기).

본 연구는 자동차 부문(AS) 내 조직 인적자원관리(OHRM)에서 지속가능성을 구현하기 위한 중요한 성공요인(CSF)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해당 부문에서 지속가능한 실행(SP)을 중요하게 채택하는 데 핵심인 조직 인적자원관리 요인을 식별하기 위해 문헌 검토를 수행했다. 문헌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자동차 부문, 학계, 컨설팅 회사의 전문가 17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팀을 대상으로 다수준 의사결정 도구를 활용하여 CSF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자문을 거쳤다.
데이터는 2019년 11월부터 2020년 4월까지 인도에서 수집되었다. 그 결과, 공급업체에 대한 최고 경영진 지원과 환경 감사가 연구된 요인 중 가장 우선해야 할 두 가지 중요한 CSF임이 밝혀졌으며, 이는 자동차 제조업체가 먼저 이러한 요인을 관리함으로써 SP 채택에 더 잘 대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두 가지 요인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OHRM과 관련된 다른 CSF(예: 조직 문화, 환경 훈련, 보상 및 인센티브)도 SP 채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새로운 시사점은 ‘공급업체에 대한 환경 감사의 중요성’이 자동차 부분(AS)에서 지속가능한 실행(SP)의 채택뿐만 아니라 다른 OHRM 요인을 더 용이하게 높이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는 데 있다.
*OHRM: Organizational Human Resources Management(조직 인적자원관리), CSF: critical success factors(핵심성공요소), AS: Automotive Sector(자동차 부문), SP: Sustainable Practices(지속가능한 이행)
2. 자동차 부문의 지속가능 핵심성공요인, 15가지 CSFs
자동차 부문의 지속가능 핵심성공요인의 CSF 15가지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내부 및 최고 경영진 지원(C1)이다. 많은 연구에서 저자들은 내부 지원이 자동차 분야에서 지속가능성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조직의 CSF임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최고 경영진의 지원은 항상 등장하는 요인으로 지속가능경영을 개선하는 실행 요인으로 매우 중요하게 언급되고 나타나고 있다.
두 번째, 정부의 규제(C2)이다. 정부가 지속가능성과 환경에 관련된 새로운 규범을 만들고 지원하는 것은 SP를 시행하는 회사들의 운영에 있어서 근본적인 원동력 중 하나이다. 많은 선진국들은 정부의 압력 때문에 성공적으로 지속가능성을 실행해 왔다.
세 번째, 기술 업그레이드 및 혁신(C3)이다. 많은 문헌의 연구자들은 기업의 기술 및 혁신 업그레이드가 특히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산업에서 지속가능성을 구현하는 CSF 중 하나라는 것을 발견했다. 현재 시장은 더 많은 맞춤화와 더 짧은 리드 타임을 요구하기 때문에 기업들은 환경을 고려하면서 기술 업그레이드를 시작했다.
네 번째, 공급자 관리(C4)이다. 공급자를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은 지속가능성 개발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CSF이다. 공급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기업은 지속가능성 목표를 보다 쉽게 달성할 수 있다.
다섯 번째, 경영진의 몰입과 학습(C5)이다. 경영진의 몰입과 학습 열의는 지속가능성 개선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가장 중요한 CSF이다. 경영진의 지원 없이는 지속가능성 개발에서 성공을 거두기 어렵다. 강력한 경영진의 몰입과 집중은 SP를 실행하는 기업의 장기적인 전략의 성공을 보장한다.
여섯 번째, 표준화 및 통합(C6)이다. 연구자들은 표준화에 초점을 맞추고 역기능적인 활동을 통합하는 회사들이 SP를 성공적으로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말한다. 하지만 많은 회사들은 표준화가 부족하여 개선사항을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
일곱 번째, 시장구조 및 역량(C7)이다. 기업은 새로운 SP를 이행하기 위해 좋은 시장구조를 유지해야 한다. 시장구조는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새로운 SP 이행과 관련된 고객 불만사항 처리 등을 포함한다.
여덟 번째, 기업의 녹색 이미지 제고(C8)이다. 연구자들은 적절한 수준의 녹색 이미지를 유지하는 기업은 시장에서 지속가능성 실행을 성공적으로 이행함으로써 이익을 얻는다고 말하고 있다. 이는 기업이 시장에서 새로운 실무를 이행하는 위험을 줄이고 고객 측면에서 쉽게 수락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아홉 번째, 공급업체에 대한 환경감사(C9)이다. 연구자들은 환경감사 및 주기적인 검토를 수행하는 것이 회사가 새로운 SP를 문제없이 시행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한다. 공급업체는 프로세스에서 적절한 수준의 표준화를 유지하는 것이 고객의 환경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열 번째, SSC 관리자의 스킬셋 및 HRM 전문성 개발(C10): 대부분의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역할은 교육수요를 파악하고 공급망 지속가능성을 위해 필요한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을 마련하는 것입니다. 저자들은 자동차 산업에서 SP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해 HRM은 교육을 매우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직원들 간의 문화를 구축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열한 번째, 조직 문화 관리(C11)이다. 연구들은 환경적 초점을 향해 조직 문화를 관리하는 것이 성공적인 지속가능성 구현을 희망하는 조직의 CSF 중 하나라고 말하고 있다. 기업의 문화는 다양한 SP의 구현을 위해 조직에 가장 적합한 방법과 프로세스를 조절한다.
열두 번째, 환경교육(C12)이다. 교육은 새로운 개선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CSF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공급자, 고객 및 기타 이해관계자들은 관련 환경 및 지속가능성 개념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기업은 지속가능성 개발 계획 단계에서 필요한 교육을 계획해야 한다.
열세 번째, 환경 경영을 지원하는 직원 참여(C13)이다. 개선 프로그램의 성공과 새로운 제도의 시행은 전적으로 회사의 직원들의 참여에 달려 있다. 경영진은 시행 전에 모든 수준의 직원들에게 환경과 관련된 개선 사항을 설명해야 한다. 직원 지원은 장기적으로 개선 프로그램을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직원과 경영진 간의 의사소통은 지속가능한 개발과 관련하여 직원들의 지원을 얻는 데 필수적이다.
열네 번째, 보상 및 인센티브(C14)이다. 보상 제도와 인센티브 제도는 자동차 부문에서 SP를 시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경영진은 적절한 인센티브 제도와 적절한 보상 제도로 직원들로부터 요구되는 수준의 지원과 협력을 달성할 수 있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보상 제도를 지속가능성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CSF 중 하나로 생각한다.
열다섯 번째, 팀워크(고객과의 협력)(C15)이다. 지속가능한 발전은 상호작용적인 팀 지원을 포함하며, 좋은 팀워크는 지속가능성을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CSF 중 하나로 간주된다. 상호작용적인 커뮤니케이션과 협력을 관리하는 것은 조직의 팀워크를 향상시켜 개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발생하는 갈등을 줄여 준다. 환경 관련 이니셔티브 및 개선 프로그램은 최종 고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에 SP 실행에 있어 고객 협력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SP 실행에 있어 고객 불만 사항을 신속하게 처리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중요한 성공 요인 중 하나로 간주된다.
3. 자동차 부문의 지속가능 핵심성공요인, 결론
인도 AS는 인도 경제의 한 축이지만 가장 오염을 유발하는 부문 중 하나이며 심각한 생태계 피해를 초래한다. 따라서 AS는 환경 친화적인 SP의 채택을 위해 즉각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AS에서 SP를 채택하기 위해 OHRM의 맥락에서 AS에서 SP를 구현하기 위한 15개의 CSF 목록을 식별하고 제공한다. 식별된 CSF는 원인-결과 관계와 함께 DEMATEL 접근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DEMATEL: Decision Making Trial and Evaluation Laboratory,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요인들의 인과관계를 도식화하고. 계량화하여 분석하는 기법
또한 기존의 HRM과 신흥 GHRM 이론적 관점의 지원을 통해 CSF를 OHRM 차원의 관점에서 검토했다. 본 연구는 인도 AS에서 SP를 채택하기 위해 최고 경영진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최고 경영진은 지속가능성 지향적인 OHRM 정책과 관행을 장려하고 이러한 정책과 관행이 직원뿐만 아니라 조직 내에 깊이 포함되도록 해야 한다.
공급업체도 조직의 지속가능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언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관리자와 의사결정자는 공급업체의 지속 가능한 능력을 개발하고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시켜 AS가 지속가능성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관리자와 의사결정자는 녹색 조달 관행을 채택하여 공급업체의 지속가능성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체적인 접근법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조직은 SP 및 지속 가능성 감사를 기반으로 공급업체를 선정하고 우선 순위를 정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4. 자동차 부문의 지속가능 핵심성공요인, 학술 및 실무적 기여
조직의 지속가능성 성과에서 OHRM 요인이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에도 불구하고 OHRM 차원은 기존 연구 문헌에서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본 연구는 AS에서 SP의 성공적인 채택을 위한 OHRM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또한 이전에 누락되었던 인도 AS에서 SP의 채택을 위한 OHRM의 맥락에서 문헌에 대한 기여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DEMATEL 방법을 통해 CSF의 우선순위를 도출했다. 많은 논문에서 검증했듯이 조직이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최고 경영진의 몰입이 필수적이며, 본 논문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발견했다. 본 연구의 참신성은 AS에서 SP의 채택뿐만 아니라 OHRM 요인을 용이하게 하는 요인으로 공급업체에 대한 환경 감사의 중요성을 높이는 데 있다는 점을 발견한 것이다..
실무적 측면에서의 실천적 시사점은 세 가지이다. 첫째, 관리자와 의사결정자는 자신의 조직 내에서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이점을 활용할 수 있다. 실무자와 의사결정자는 가능한 OHRM 요소를 인식하고 AS에서 지속가능성을 구현하기 위해 영향력 있는 OHRM 요소에 집중해야 한다. 지속가능한 변화를 위한 조직문화 구축 및 녹색 인적자원 시스템에 초점을 맞춘 OHRM 개입은 SP를 위한 지원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도 도움이 되어야 한다.
둘째, 공급망 내에서 실무자와 의사결정자는 AS에서 지속가능성 채택을 보장하기 위해 공급업체에 대한 지속가능성 감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업체는 제조 프로세스를 공동 설계함으로써 공급업체의 역량을 개발할 수 있고 동시에 AS에서 지속가능성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셋째, 정책 입안자와 외부 컨설팅 조직은 본 연구에서 강조하는 OHRM에 특정 초점을 맞추어 AS 제조업체와 공급업체가 SP를 구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정책 및 권장 사항을 개발할 수 있다.
5. 자동차 부문의 지속가능 핵심성공요인,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
이 연구의 초점은 OHRM의 맥락에서 AS에서 지속 가능성을 채택하기 위한 CSF에 있지만, 이 연구는 특정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전문가 의견을 포함한 정성적 접근 방식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편향된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규모 데이터 세트에 대한 정량적 방법을 사용하고 구성 간의 관계를 보다 자세히 조사하기 위해 다변량 분석을 사용하여 결과를 추가로 검증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산업, 지리적 위치 및 국가 문화 전반에 걸쳐 OHRM 프레임워크의 일반화 가능성을 테스트할 수도 있다. 추가 실증 연구는 OHRM의 지속 가능성을 향한 CSF로서 공급업체의 역할을 더 자세히 탐구할 수 있으므로 실무자와 학자에게 SP에 대한 더 미묘한 그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Gedam, V. V., Raut, R. D., Lopes de Sousa Jabbour, A. B., Narkhede, B. E., and Grebinevych, O.(2021), “Sustainable manufacturing and green human resources: Critical success factors in the automotive sector”,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30(2), 1296-1313 ↩︎


